[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주소 변경] science.snu.ac.kr

대학/학부(과)소식 (자연과학대학)

제목 [기획기사]전공 바다를 헤엄치는 자연과학도를 위한 안내서-연계전공, 연합전공편 (2부)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8.10.04 조회수 15092

전공 바다를 헤엄치는 자연과학도를 위한 안내서 2

-연계전공 과학기술학, 연합전공 계산과학 편-

 

홍보기자 배상윤

 

벌써 아침 저녁 공기가 차갑네요. 새내기 시절까지만 해도 찬 공기 냄새를 맡으면 이제 수능이 곧 다가오겠구나 했는데, 4학년이 된 지금은 곧 익숙해진 사람들이 학교를 떠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많은 선배들이 대학을 떠나기 전에 ‘못 해 본 게 너무 많아서 아쉽다’고 말하곤 하죠. 못다 간 길에는 취미 생활도, 동아리도, 인간 관계도 있겠지만, ‘재미 있어 보이는데 못 들어본 수업’을 1순위로 꼽는 분들도 많아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내 전공과 관련 있는, 재미 있는 수업을 좀 들어보고 싶은데, 막상 남의 과에 들어가기엔 무서운 사람들을 위한 전공 소개서. 그 동안 일반적으로 알아왔던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처럼 다른 학과(부)의 수업을 그대로 듣는 게 아닌, 새로운 형태의 전공인 ‘연합전공’ 과 ‘연계전공’ 을 소개하려 합니다. 이번 기사는 6월 뉴스레터를 시작으로 총 3편에 걸쳐 자연과학도들이 많이 하는 전공들과 그에 대한 저와 제 주변인들의 지극히 개인적인 평을 연재하는 시리즈물 중 두 번째 기사입니다.

 

 

본격적인 이야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연계전공과 연합전공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시작하겠습니다.

 

Q. 연계전공이란 무엇인가요?

 

A. 연계전공이란 학과(부)가 다른 학과(부)의 전공과 연계하여 만든 전공과정으로, 단일 학과에서 설계하거나 둘 이상 의 학과에서 연계하여 설계합니다. 학부생들 입장에서 설명드리자면, 졸업 증서에는 부전공으로 취급되는 전공이죠. 최근 이수 조건 규제가 풀려서, 연계 전공에 참여하지 않는 학과(부) 소속의 학생도 연계전공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Q. 연합전공이란 무엇인가요?

 

A. 연합전공이란 2개 이상의 전공 과정이 공동으로 참여하며 제공하는 전공과정으로써 주관 대학에서 관리 운영합니다. 연합전공은 하나의 독립된 전공으로 간주되고, 복수전공이랑 비슷한 취급을 받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독립된 전공으로 여겨진다 할 지라도 본인의 소속 학과(부) 전공을 이수하지 않고 연합전공을 단일전공으로 이수할 수는 없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과학기술을 위해서’ 라는 슬로건을 걸고 있는 두 전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뉴스레터에서 소개드렸던 연계전공 뇌 마음 행동이나 연합전공 환경경영학과보다 자체 프로그램의 개수가 더 많이 개설되어 학문 자체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전공입니다.

 

 

 

연계전공 과학기술학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왜 만들었나요?

 

‘과학 기술은 왜 중요하며,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는가?’

 

연계전공 과학기술학 (이후 STS라 칭함) 이 던지는 질문입니다.

 

과학기술 연구는 비단 자연의 작동 원리를 밝혀내는 데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과학기술은 사회와 상호작용 하면서 함께 발전해왔기 때문에, 우리는 과학기술 자체만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과학기술을 더 잘 이해하고 실질적인 연구와 교육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그 자체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접근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분석이 필요합니다.

 

STS에서 다루는 연구 주제는 전통 과학사부터 핵폐기물 처리장을 둘러싼 갈등에 이르기까지 무척 다양한데, 모두 과학기술의 본질과 속성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을 지향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과학기술이 왜 중요한가,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발전이 일어나는 조건은 무엇인가, 시민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의 모습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대답을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모색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STS는 제대로 된 과학기술 정책을 위한 ‘기초’ 의 역할을 합니다.

 

 

어떤 공부를 하나요?

 

연계전공 과학기술학의 전공 과목은 자연과학대학 전공선택과목으로 12학점까지 인정되기 때문에 아마 꽤나 많은 자연대 학우 여러분들이 수업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과학기술학 연계전공에서는 과학기술과 법,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환경, 과학기술과 예술, 과학기술과 젠더, 과학기술과 경제 혁신 등의 주제에 대한 심화된 학습을 통해 이공계 학우들 에게는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사회과학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인문계 및 예술계 학우들 에게는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과 사회와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전공 인정 교과목]

탐색 교과목 (4과목 중 3과목 이상 반드시 이수)

  • 300.301A 과학혁명과 근대과학의 탄생(The Scientific Revolution)
  • 300.302 과학과 근대사회(Science and Modern Society)
  • 300.307 과학기술과 법(Science, Technology, and Law)
  • 113.463 과학철학 (Philosophy of Science)

심화 선택 교과목 (9과목 중 3과목 이상 반드시 이수)

  • 300.306 테크노사이언스의 역사와 철학(History and Philosophy of Technoscience)
  • 300.308 동아시아의 과학, 전통과 현대(History of Science in East Asia, Tradition and Beyond)
  • M2173.000200 과학과 예술의 상호작용의 역사(Hist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Art)
  • M2888.000100 과학기술정책(Science, Technology, and Policy)
  • M2888.000200 과학기술과 젠더(Science, Technology, and Gender)
  • M2888.000300 과학기술과 환경(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 M2888.000400 과학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of Science & Technology)
  • M2888.000500 과학기술과 연구윤리(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Ethics)
  • M2888.000600 한국현대과학기술발전사(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Korea)
  •  
  • 기타 교과목
  • 400.025 현대기술과 윤리적 사고(Modern Technology and Ethical Thinking) 3학점 전공(공대)
  • 400.513 공학기술의 역사(History of Engineering Technology) 3학점 전공(공대)
  • 205.334 정보사회와 사이버사회(Information Society and Cyber Society) 3학점 전공(사회학과)

 

 

[관련 교양 교과목(전공 불인정)]

  • 054.024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046.014 역사 속의 과학(Understanding Science in the Historical Setting)
  • 046.015 서양문명과 과학기술(Western Civiliz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 054.025 과학기술과 대중문화(Science, Technology and Popular Culture)
  • 054.007 창의적 사고와 삶(Creative Thinking and Life)
  • L0547.000500 대학과 지식의 역사(A History of the University and Knowledge)
  • 043.052 철학자와 그의 시대(Philosophy in Historical Context)

 

(전공 인정 및 관련 교양 교과목)

 

탐색 교과목 중 9학점 이상, 심화 선택 교과목 중 9학점 이상을 필수로 하고, 기타 교과목 등 전공교과목까지 합쳐 총 7개 과목(21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과학기술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전공에 진입해도 괜찮을지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은 교양과목이지만 ‘과학기술과 사회’ 수강을 권장한다고 하니 한 번 들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어떤 사람이 오면 좋나요?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전체를 아우르는 다학제간 학문인 과학기술학은 우선적으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과학을 넘나들 마음의 자세와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과학기술학 연계전공은 자체 프로그램들이 굉장히 잘 개발되어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다학제간 학문인 특성을 십분 살려서 이에 대한 학문적,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토론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형식의 수업이 많은 편입니다.

 

이 전공을 택할 분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딱히 떠오르지 않지만, 열린 마음을 가지고 하나의 현상을 다양한 접근법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흥미로워 하실 분이 잘 맞겠다는 의견입니다.

 

하나의 예시를 들자면,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부지런히 뛰어다니고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가는 것을 좋아하고 융합 학문에 관심이 많은 필자 역시 한때 과학 전문 기자 혹은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꿈꾸면서 과학 자체에 대한 저의 가치관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연계전공 과학기술학에 대해 부지런히 알아봤던 적이 있습니다.

 

 

 

연합전공 계산과학 (Computational Sciences)

 

 

왜 만들었나요?

 

어려운 전공책을 두고 씨름을 하다 보면 더 이상 밝혀낼 게 또 있을까 싶다가도, 세상에는 아직 우리가 모르는 게 너무나도 많고, 인류는 지구온난화, 기후 변화, 그리고 지진 및 화산 폭발 등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지요.

 

이처럼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자연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을 넘어서 물리학, 화학 및 수학을 아우르는 다학제간 융합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컴퓨터의 개발 이후 폭발적으로 발전해온 수학적 계산 방법,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 불가능하였던 복잡하고 방대한 계산이 가능해졌습니다.

 

계산 과학은 이러한 획기적인 수학 및 컴퓨터의 발전을 바탕으로 자연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계산 과학은 핵 물리학, 천체 관측, 양자 응집 물질, 기상 및 기후 예보 등 자연에 대한 이해에만 그치지 않고 주식 예측, 교통량 예측, 친환경 자동차 개발, 문화재 복원, 특수효과 제작 등 공학, 금융, 경제, 공학 및 심지어 인문사회학에서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계산 과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전문가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늘어가는 계산 과학 전문가의 수요에 발맞춰 서울대학교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2011년 3월부터 계산과학 연합전공을 개설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계산 과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어떤 공부를 하나요?

 

연합전공 계산과학은 방법론을 다루는 학문이다 보니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법과 원리의 이해가 중요합니다. 기존의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이론 및 실험을 통하여 연구 대상을 이해하는 방법에서 발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세우고 해석함으로써 연구 대상을 이해하는 학문으로, 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

 

학년

학기

코드

과목

2

1

3349.201A*

계산과학의 이해

3349.203*

계산과학이론 및 실습 1

3349.205A

계산과학의 기초와 역사

2

3349.204*

계산과학이론 및 실습 2

3349.206

계산과학 모델과 데이터 1

3

1

881.319

수치선형대수

3349.308

과학적 가시화의 기초 및 실습

3341.353*

과학계산개론

4190.204

자료구조

2

881.320

수치해석개론

4190.313

선형 및 비선형 계산모델

4190.407

알고리즘

3349.309*

데이터과학

4

1

108.417

언어와 정보처리

4190.417

컴퓨터 애니메이션

2

108.417

언어와 정보처리

3349.406

응용 계산과학

3349.401

계산과학 주제연구

3349.404*

계산과학 종합설계

(전공 필수 및 전공 선택 교과목)

 

앞선 연계전공과는 달리 39학점을 들어야 졸업으로 인정이 됩니다. 과목 코드 옆에 * 표시가 있는 과목은 전공 필수 과목으로, 18학점입니다. 나머지 21학점은 * 표시가 없는 과목 중에서 선택하시거나, 다른 단과대학에서 열리는 전공 인정 교과목들 중에서 골라서 들으시면 됩니다. 계산과학 종합설계는 일종의 졸업 논문 과목으로, 1학기와 2학기 모두 개설되니 혹시라도 연합전공 졸업을 가을학기에 맞춰서 해야 하는 건 아닐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연합전공 계산 과학은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의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등 총 8개 단과대학이 참가하는 큰 규모의 연합전공으로, 특히나 자연과학대학 학우분들의 경우 생명과학부의 유전학, 지구환경과학부의 대기역학1, 물리천문학부의 전자학 및 계측론 등 다양한 전공과목이 연합전공 계산과학의 전공 과목으로 인정되기도 합니다.

 

필자가 새내기 시절 컴퓨터의 개론 및 실습을 한참 어려워하고 있을 때, 선배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나도 모르는 사람은 계산 과학 이론 및 실습 1, 2를 들으라고 추천해줄 정도였으니 계산 과학 말고도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계산 과학 2학년 전공 필수 과목들을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이 오면 좋나요?

 

기본적으로 방법론에 대한 학문이다 보니 본인의 학문을 어떤 방법으로 더 깊이 탐구할 수 있을지 다각도적으로 고민하는 태도를 가지신 분께 추천드립니다. 특히, 직접적인 실험이 불가능한 큰 규모의 학문을 전공하는 분들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실제로 필자 주변의 수리과학부, 물리천문학부, 지구환경과학부 학우들이 연합전공 계산 과학을 많이 전공하기도 합니다.

 

 

자연과학대학 학생들이 많이 이수하는 연계전공 및 연합전공들 중에서도 ‘과학기술의 발전’을 키워드로 하는 전공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과학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연계전공 과학기술학과 인류 자신의 사유 과정에 대해 다방면에서 접근하는 연계전공 뇌-마음-행동.

 

여러분은 어떤 길로 가 보고 싶으신가요?

 

 

[참고] 전공 바다를 헤엄치는 자연과학도를 위한 안내서 1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