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주소 변경] science.snu.ac.kr

언론 속 자연대 (전체보기)

제목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팀, 지각하부 지진파 이방성의 원인 규명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5.06.05 조회수 63975

□ 연구진: 고병관, 정해명 서울대학교 자연대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교신저자)
서울대학교 자연대 지구환경과학부 고병관 석사졸업 (제1저자)

 

□ 내용 및 의의

지구내부의 지각(지구 속 30km 깊이 이내)에서 지진파의 전파속도와 지진파의 이방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을 고압고온 각섬암 변형실험을 실시하여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교수의 실험실에서 처음으로 밝혀냈다.
** 이방성(anisotropy): 물질의 물리적 성질이 그 물질의 방향에 따라 다를 때 그 물질이 이방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지구내부로 들어가면 압력과 온도가 높아져서 우리가 쉽게 접근할 수 없다. 그래서 지구내부 구조를 밝혀내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지진발생시 나오는 지진파의 전파속도 변화와 지진파의 이방성을 가지고 이뤄져 왔다. 지각의 중·하부에 각섬암이 상당한 양으로 존재가능하고 이 암석내부의 각섬석이 탄성적으로 매우 비균질하다고 이전 연구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각섬암의 변형실험은 압력이 1 GPa (1만 기압), 온도가 섭씨 480 – 700 °C 에서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실험실(지체구조물리학 연구실)에서 전단변형 실험으로 수행되었는데, 각섬암 내부의 주요광물인 각섬석이 온도와 응력에 따라 3개의 선호방향을 가짐을 처음으로 발견해 냈다. 각섬암의 전단변형 실험은 세계 최초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생성된 3개 타입의 각섬석 선호방향은 지진파의 전파속도와 지진파의 이방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처음으로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지금까지 미국, 호주, 독일, 중국, 티벳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지각 중·하부에서 발견되는 지진파의 이방성은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명확하지 않았는데, 이번 연구 결과는 그 원인이 각섬석의 선호방향이 될 수 있음을 지시해 주고 있어 지각의 내부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섭입대의 맨틀웨지에서 나타나는 이례적인 지진파의 이방성 또한 각섬석의 선호방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음이 이번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지진학·구조지질학·지구내부 동력학 연구 분야에서 지체구조 연구 및 해석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고압고온 실험기기는 정해명 교수가 서울대에 부임하여 새로 만든 세계적인 암석변형기기를 사용하였으며, 석사과정으로 들어온 고병관 학생을 지도하여 얻은 결과이다. 고병관 학생은 서울대에서 2014년 8월 석사학위를 마치고, 미국 아리조나주립대 유학중(박사과정)인 학생으로 장래가 촉망되는 학생이다.

위의 연구내용은 국제적 저명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2015년 4월 10일(금) 발표되었고,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Article로 출판되었다.

□ 연구진 소개

서울대학교 자연대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서울대학교 자연대 지구환경과학부 고병관 석사졸업

 

□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연구지원사업 도약과제 (정해명) NRF (3345-20100013, 3345-20130011 and 3345-20140009), 그리고 BK 프로그램의 부분지원(고병관 석사과정)에 감사한다.

 

□ 관련사진(연구책임자 및 연구관련 사진)

연구책임자 정해명 교수
연구책임자 정해명 교수

 

□ 관련기사 : 연합뉴스 2015. 04.10일자 기사 보기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35 한국 기초과학 연구자들이 뽑은 노벨상 후보 1위는 김... 최정미 70847 2016.09.27
234 '화장실 비상벨' 서울대 성폭행 막았다 최정미 83651 2016.09.23
233 서울대에 둥지 튼 노벨화학상 美 그럽스 교수... 최정미 75769 2016.09.20
232 왕성한 성호르몬이 근육 키운다(공영윤 교수 연구팀)... 최정미 71693 2016.09.01
231 암 치료에 필수 ‘세포의 자가포식작용 조절 신호’ 규... 최정미 68471 2016.08.22
230 '2016 국가R&D 우수성과 100' 최우수성과 강봉균교수 ... 최정미 71633 2016.08.22
229 노벨상 프로젝트, 90% 실패해도 도전적·창의적 과제 ... 최정미 65503 2016.08.17
228 IBS, 전자도핑으로 철 화합물 초전도체 성능 개선 (물... 최정미 65348 2016.08.16
227 고교생 진로 탐색 돕는 대학 체험캠프 활기... 최정미 85738 2016.08.16
226 신경과학자들이 말하는, “기억이란 ___이다”... 최정미 79531 2016.08.11
225 '호기심 가득' 서울대 자연과학 체험캠프 최정미 79959 2016.08.05
224 서울대, 고교생 대상 ‘자연과학 체험캠프’ 개최... 최정미 78738 2016.08.04
223 고창군, 서울대 자연과학대 과학캠프 수강생 모집... 최정미 74859 2016.07.26
222 [SPARC] 공부하는 CEO, 딱딱해 보이는 과학에 인문학 ... 최정미 76652 2016.07.08
221 김영희 서울대 교수, "울산 규모 5.0 지진, 지각변동 ... 최정미 66537 2016.07.08
220 천랩(천종식 교수), 장내 미생물로 아토피, 자폐증까지... 최정미 64275 2016.07.08
219 서울대학교, '제8회 자연과학 체험캠프' 개최... 최정미 75641 2016.06.21
218 천종식 교수 "BT· IT, 두개의 두뇌로 인류 건강의 '네... 최정미 65737 2016.06.09
217 김빛내리 교수, 유전자 변이 질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최정미 62242 2016.06.08
216 우종학 교수 '과학자와 신학자의 대담' 포럼... 최정미 63409 2016.06.08
215 IP&Science 사업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최정미 66295 2016.06.08
214 우종학 교수 "한국교회 '젊은 지구 창조론' 벗어나야"... 최정미 65604 2016.05.31
213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중인데 한국은 규제가 기술발전... 최정미 62740 2016.05.20
212 '갤럭시폰 암호' 수학자와 함께 개발한다 최정미 68863 2016.04.28
211 서울대, 수학천재 오셔와 딥러닝 연구 최정미 67662 2016.04.21
210 [해외석학평가관련] 모험하라, 서울대 자연대도 10년 ... 전지인 84085 2016.03.30
209 산업수학센터개소-수학에 눈 뜬 기업들, 신산업 찾아 ... 최정미 68666 2016.03.23
208 [해외석학평가관련]모험하라, 서울대자연대도 10년 밀... 최정미 80076 2016.03.18
207 [기고(생명과학부 김선영 교수)]서울대 연구 경쟁력, ... 최정미 86069 2016.03.14
206 [해외석학평가]세계 석학들 "서울大, '따라하기 과학'... 최정미 79562 2016.03.0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