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주소 변경] science.snu.ac.kr

언론 속 자연대 (전체보기)

제목 [소식] 서울대 자연대 대학원생 90% “교내 신속PCR검사 참여하겠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1.03.11 조회수 18909

 

서울대학교 주기적 신속 분자진단 검사 시범사업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배포

- 서울대 자연대 대학원생 90% “교내 신속PCR검사 참여하겠다” -
 

[관련 기사보기]

 

[보도자료 보기]

서울대학교는 신속 코로나19 분자진단 검사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비인두도말과 타액을 이용한 주기적 신속 분자진단 검사를 준비하고 있다.

 

주기적 신속 분자진단 검사 시범사업 시행의 범위는 자연과학대학 건물에 주기적으로 출입하는 행정 및 연구 인력 중 자발적으로 검사에 동의하는 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준비의 일환으로 자연과학대학에서는 실험 연구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설문 조사는

- 본 사업의 취지에 대해 대학원생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는지

- 본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

- 참여한다면 검체 채취 방법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지

- 참여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이유로 참여하지 않는지

- 사업 시행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 또는 건의사항은 없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설문이 이루어졌다.

 

===============================================================

가. 설문 대상: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학원생 212명

 

나. 설문 조사 기간: 2021. 3. 5.(금) ~ 3. 10.(수)

 

[설문지]

 

1. 신속 분자진단 검사의 개념이 이해가 간다
  1) 예 2) 아니요

 

2.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1) 예 2) 아니요 3) 잘 모르겠다

 

3. 선호하는 방법?

  1) 타액 검사 2) 비인두도말 검사 3) 선호도 없음

 

4. 자발적 참여 의향?

  1) 예 2) 아니요 3) 조건부 4) 잘 모르겠다

 

5. 참여하지 않는 이유? (복수 응답 가능)

  1) 바쁘고 번거로움 2) 감염 의심시만 참여 3) 오판의 확률(위음성, 위양성)
  4) 검사할 시 밀집 등에 의한 감염 5)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 생각

 

6. 기타 고려할 사안? (주관식 응답)

===============================================================

 

설문조사 결과 설문 참여 학생들의 90% 이상이 본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으며 참여시 검체 채취방법으로 타액검사를 선호한다고 답한 학생이 60% 이상 이었다. 또한 약 82%의 학생이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응답하였다.

 

[설문 상세 응답]

 

 

 


 

 
서울대학교는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주기적 신속 검사를 통해 코로나 19 양성 여부를 빠르고 쉽게 확인함으로써 안전한 환경에서 연구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모범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75 [단독] 무감독 시험 이어 학생이 주인인 '거꾸로 수업'... 관리자 65818 2015.07.23
174 서울대 자연대, 전공 불문 '융합과학' 과목 신설한다.... 관리자 78129 2015.07.23
173 서울대 커닝 사태 원인은 과도한 경쟁, 모두가 승리자 ... 관리자 77416 2015.07.22
172 [단독]서울대 자연대, 외국 석학 주도 독자평가 시행... 관리자 80373 2015.07.22
171 서울대 자연대, 22~24일 '자연과학 체험캠프' 개최... 관리자 78478 2015.07.22
170 서울대 자연대, 제7회 자연과학체험캠프 개최... 관리자 74861 2015.07.22
169 서울대 자연대, '무감독 시험'으로 커닝사태 정면 대응... 관리자 75007 2015.07.21
168 서울대 자연대 '무감독 시험' 성공을 기원한다... 관리자 74657 2015.07.20
167 화학부 김진수 교수, 지방줄인 수퍼돼지의 탄생... 관리자 67480 2015.07.02
166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올해 '볼라벤'만큼 센 태... 관리자 63414 2015.06.22
165 물리천문학부 박윤 교수, 0.3나노미터 그래핀 활용 발... 관리자 69679 2015.06.17
164 화학부 김진수교수, 근육성장 막는 유전자 제거, 유전... 관리자 63510 2015.06.15
163 천문학전공 우종학 교수, 별 아저씨 이야기... 관리자 64897 2015.06.08
162 화학부 김진수교수, 돼지 배아에 인간세포 주입…이식... 관리자 67232 2015.06.08
161 생명과학부 강사욱교수, 전통식품에 대한 유익성을 과... 관리자 62981 2015.06.0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