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대학 홈페이지 주소 변경] science.snu.ac.kr

언론 속 자연대 (전체보기)

제목 [연구] 이준호 교수 연구팀, GENOME RESEARCH 커버 선정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9.06.11 조회수 50332

2019.06.11.(화)

 

GENOME RESEARCH 커버 선정 [관련 내용 보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김천아 박사, 김준 박사과정)의 연구성과가 Genome Research 6월호에 게재되었다.
 
또한, 연구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그린 그림(퍼즐 아이디어: 김준 박사과정, 그림 임성희 박사과정)Genome Research 6월호의 표지로 선정되었다. 첨부된 그림은 유전체 이어붙이기 과정을 퍼즐 맞추기에 비유한 것이다. 
 
ㅁ 연구성과 제목: 꼬마선충에게도 하와이는‘기회의 땅’이었다!

                             - 꼬마선충으로 동일 종 내 게놈의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규명함 - 

 
 
 
예쁜꼬마선충은 최초로 유전체 지도가 완성된 다세포 생물로, 1998년 완성된 이 고품질 지도은 지금까지 다양한 생명현상을 유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20여 년이 지난 지금, 염기서열분석 기술의 발전 덕분에 당대에 쓰였던 기술로는 살펴보기 어려웠던 복잡한 반복서열 구조나 다양한 구조 변이를 살펴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기존에 밝혀져 있던 예쁜꼬마선충의 유전체 지도를 새롭게 완성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유전체 지도란 세포 안에 들어있는 염색체라는 거대한 DNA에 담긴 정보를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모두 읽어낸 것이다. 다만 현존하는 염기서열분석 기술로도 염색체를 한번에 읽어낼 수는 없기 때문에, 염기 수천만 개 길이의 DNA를 수만에서 수십만 개짜리 조각으로 만들고 이 조각에 담긴 정보를 읽어내는 분석이 진행된다. 이후 이 조각들끼리 겹치는 부분을 이어붙여 염색체에 준하는 거대한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를 유전체 이어붙이기(genome assembly)라 부른다. 직소 퍼즐을 끼워맞출 때처럼 먼저 비슷한 부분을 찾고 이어지는 조각끼리 연결해 가능한 길게 이어붙여 한 판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번 Genome Research에는 이 예쁜꼬마선충의 유전체 지도를 새롭게 완성한 두 편의 논문이 함께 실렸다. 두 연구진은 서로 다른 품종의 유전체를 완성했는데, 한쪽에선 연구실에서 진화를 거친 표준 품종인 영국 브리스톨 품종의 유전체를 보완하여 1998년 당시 완성된 것보다 훨씬 더 완벽해진 표준 유전체를 제공했다(청록색). [논문보기]   한편 우리 연구진은 이 품종과 비교해 유전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품종인 하와이 품종을 대상으로 골라, 이 품종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확보하고 브리스톨 품종과 하와이 품종의 유전체를 비교해 종 내 변이와 염색체 끝부분의 진화, 그리고 유전적 다양성에 관해 논하며 표지 논문으로 장식되었다(노란색). [논문보기]
 
 
 
[관련 연구성과]
 
이준호 교수 연구팀,
다윈 진화의 유전적 원리, 하와이 꼬마선충에서 찾다

 

 

 기사보기(2019.05.24.)

 

 관련 기사 보기(2019.05.24.~26.)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445 [연구] 박승범 교수팀, 생합성 모사한 비타민B3 합성법... 관리자 36609 2020.12.11
444 [소식] 서인석 교수, 2020년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선정... 관리자 37117 2020.12.11
443 [소식] 이상묵 교수, 국제장애인의 날 런던왕립학회 ‘... 관리자 37710 2020.12.11
442 [연구] 박건식 교수팀, 지문의 그립 동작에서의 역할 ... 관리자 66262 2020.12.04
441 [연구] 박건식 교수팀, 지문의 그립 동작에서의 역할 ... 관리자 12656 2020.12.04
440 [칼럼] 안광석 교수, 감염병 위기 키우는 지구온난화... 관리자 66348 2020.12.03
439 [소식] 임영운 교수팀, 도루묵 알에서 찾은 '바다 곰팡... 관리자 42760 2020.11.30
438 [연구] 박충모 교수,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대... 관리자 63012 2020.11.19
437 [소식] 김빛내리 교수, 세계미생물학회연합 2020 학슬... 관리자 66493 2020.11.17
436 [수상] 임명신 교수-서울대 '2020학년도 학술연구교육... 관리자 65779 2020.11.16
435 [소식] 서울대-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과학 관련 MOU... 관리자 64469 2020.11.16
434 [수상] 장혜식 교수, 2020 과학언론상-기자가 뽑은 올... 관리자 67314 2020.11.10
433 [소식] 자연과학대학 '명사초청특강' 성료, 씨젠의 천... 관리자 71434 2020.11.10
432 [연구] 최희정 교수팀, 골다공증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관리자 68283 2020.10.28
431 [연구] 김진홍 교수팀, 서울대 연구진 항암제 내성 극... 관리자 89752 2020.10.12
430 [수상] 서울대학교 제13회 발전공로상 시상... 관리자 109232 2020.09.22
429 [수상] 노성훈 교수, 올해의 신진과학자 선정... 관리자 142361 2020.09.17
428 [수상]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최고의 강... 관리자 166623 2020.09.08
427 [소식]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Elsevier 발간 국... 관리자 151467 2020.09.04
426 [연구] 이성근 교수 연구팀, 지구 내부 맨틀에서 형성... 관리자 145465 2020.08.31
TOP▲